뉴스
사회 분류

굳건했던 '비육사' 지휘관들 있었다

작성자 정보

  • 작성일

컨텐츠 정보

본문

98bafb14113f158b7708db9d2341e943_1745327212_9077.webp
 

[기자]

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지난해 12월 3일 밤 10시 28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를 열었습니다.


"전군은 장관이 지휘한다"며 "명령에 따르지 않으면 항명죄로 처벌한다"고 압박했습니다.


김 전 장관 지시는 3성 장군인 사령관들을 통해 현장에 전달됐습니다.


하지만 장관의 지시도 장군의 지시도 현장 지휘관들에게 먹히지 않았습니다.


수방사 경비단장 조성현 대령과 특전사 대대장 김형기 중령은 '국회의원을 끌어내라'는 임무를 부하들에게 강요하지 않았습니다.


[조성현/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 (지난 2월 13일) : 제 부하들에게 어떠한 군사적 행동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고…]


조 대령과 김 중령은 각각 ROTC와 간부사관으로 모두 '비육사' 출신입니다.


계엄군 헬기의 서울 진입을 지연시킨 김문상 전 수방사 작전처장도 '비육사' 출신입니다.


진급 등을 위해선 군 윗선을 장악한 육사 출신 장관과 사령관들의 지시를 따르는 게 유리했지만 부당한 지시였다고 판단한 겁니다.


헌법재판소 역시 비상계엄이 해제된 공을 현장의 군인들에게 돌렸습니다.


[문형배/당시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: 국회가 신속하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할 수 있었던 것은 시민들의 저항과 군경의 소극적인 임무 덕분이었으므로…]


.. 후략 ..


"항명 처벌한다" 위험도 감수…굳건했던 '비육사' 지휘관들

관련자료
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사회 2,517 / 1 페이지
번호
제목
알림 0